|
|
|
|
|
모니터
모니터암
프린터,복합기,스캐너
키보드
마우스
네트워크,케이블,젠더 +
스피커,헤드셋
저장장치(외장하드/외장SSD)
화상캠,영상장비
USB,메모리카드,리더기 +
토너,잉크,용지
전산용품
소프트웨어(운영체제) +
기타
|
|
 |
|
|
|
SCO, 오히려 GPL 위반 했나? |
|
COMPARA |
 |
03/06/11 10:52 |
|
1738 |
오픈 소스 커뮤니티의 멤버들이 SCO 그룹이 오히려 GNU GPL(General Public Lisence)을 위반했을 수도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이들에 의하면 SCO가 오히려 리눅스 커널의 소스 코드를 SCO 유닉스에 포함된 리눅스 커널 퍼스널리티(LKP, Linux Kernel Personality)기능에 오픈 소스 커뮤니티에 이것에 대한 내용을 환원하거나 코드의 리눅스 저작권에 대한 것을 표기하지 않은채 넣었다는 것이다.
SCO에 밀접한 익명을 요구한 소식통에 따르면 전/현직 SCO 직원들에 의해서 리눅스 커널의 코드 일부분이 유닉스 시스템 V의 소스에 복사되었다고 한다. 이는 상용 제품에 사용된 오픈 소스 코드에 대해서 오픈 소스 커뮤니티에 관련 사항을 환원하거나 저작권에 대한 표기를 해야 하는 GNU GPL을 위반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유닉스 시스템 V와 리눅스 소스 코드를 모두 보고 이 2개의 커널들을 더욱 밀접하게 하기 위한 SCO의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이 소식통에 의하면 SCO가 기본적으로 리눅스 커널에 유닉스 커널의 기능을 적용해서 현재 SCO 유닉스내에 포함되어 있는 LKP를 만들었다고 한다. LKP는 SCO의 유닉스웨어(UnixWare)을 사용한 시스템에서 표준 유닉스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리눅스 애플리케이션을 같이 구동할 수 잇도록 한 기능이다.
이 소식통은 프로젝트 진행중에 두 커널간에 유사한 코드 부분을 다수 직면했다고 하며 변수 이름까지 동일한 것에 대해서 개발자 자신들도 의아해했다고 한다. 그에 의하면 리눅스 애플리케이션을 유닉스웨어에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리눅스 커널에 대한 면밀한 조사후에 리눅스 시스템 콜에 대한 호환성을 확보해야 하는데 이 측면에서 SCO유닉스 커널에 리눅스 커널의 복사되었을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고 그는 전했다. 이렇지 않고는 리눅스 바이너리인 X 윈도우 서버나 자바 핫스팟 가상 머신(VM)을 SCO 유닉스상에서 동작시키기가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그는 밝혔다. 오픈 소스 진영은 SCO의 전신인 칼데라가 유닉스웨어를 리눅스와 바이너리상 호환시키려고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는 점, 이 두 플랫폼을 통합하려 해왔다는 점이 이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SCO측은 LKP가 오픈 소스 일부분을 사용하고 있지만 리눅스 커널 코드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으며 이는 GPL을 위반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SCO는 유닉스 코드 일부분을 리눅스에 제공한 적이 없다는 기존 주장을 고수했다.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