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모니터
모니터암
프린터,복합기,스캐너
키보드
마우스
네트워크,케이블,젠더 +
스피커,헤드셋
저장장치(외장하드/외장SSD)
화상캠,영상장비
USB,메모리카드,리더기 +
토너,잉크,용지
전산용품
소프트웨어(운영체제) +
기타
|
|
 |
|
|
|
올해 4사분기에 3.4GHz의 프레스컷 등장 |
|
KBENCH |
 |
03/06/04 17:15 |
|
1967 |
이전에 프레스컷 프로세서가 공식 출시된 후 곧 3.80GHz의 동작클럭을 가지는 프레스컷 프로세서가 출시될 것이라고 알려진 바 있는데, 이와는 달리 애슬론 64가 인텔 프로세서의 성능을 능가할 경우에만 전략을 변경하여 이 프로세서를 출시할 것이며 전략을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한다. 또한 프레스컷 프로세서는 작년에 노스우드 프로세서처럼 클럭을 급격히 끌어올리지는 못할 것이라고 한다.
아직 브랜드명이 정해지지 않은 인텔의 차세대 데스크탑 프로세서인 프레스컷은 3.40GHz 및 3.20GHz의 클럭으로 출시될 예정인데 내년 1사분기까지도 클럭은 3.60GHz까지밖에 올라가지 못할 전망이라고 애넌드텍이 보도하였다. 프레스컷 3.40GHz 및 3.20GHz는 올해 11월 정도에 등장할 것이다. 그러나 요즘들어서 인텔이 늘 그랬듯이 그 이전에 등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현재 출시되어 있는 865 시리즈 칩셋 및 875P 칩셋이 프레스컷을 지원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텔의 코드명 프레스컷 프로세서는 현행의 펜티엄4 프로세서에 사용되는 넷버스트 아키텍쳐를 계승하며 대형화된 L1 및 L2 캐시를 탑재하고 향상된 프리페치 메커니즘과 효율성이 향상된 하이퍼스레딩 테크놀러지, 13개의 새로운 명령어셋을 탑재한다. 이 프로세서는 약 1억개의 트랜지스터가 집적되어 있으며, 스트레인드 실리콘(strained silicon) 기술이 접목된 90nm 공정에서 제조된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소켓 478의 프레스컷 프로세서는 짧은 기간동안만 만들어지고 향후 내년 하반기 쯤에는 새로운 패키징방식을 사용하는 그랜츠데일 플랫폼으로 이행하게 된다. 새로운 패지키는 775개의 핀을 사용하는 LGA 패키징으로 알려졌는데, 이 패키지를 사용해서 3.60, 3.40, 3.20GHz의 프로세서가 만들어질 전망이다. 그랜츠데일 플랫폼에서 인텔이 하이엔드 프레스컷 프로세서에 1,066MHz의 FSB를 사용하게 될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프레스컷의 후속인 테자스(Tejas)에서는 확실히 사용될 것이다.
|
|
|
|
|
|
|
|
|
|
|
|